목차
728x90
반응형
View Controller (뷰 컨트롤러)
- 앱의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코드 작성 (이벤트 발생 시 수행될 코드 작성), 일반적으로 화면의 개수만큼 필요하다.
Storyboard (스토리보드)
- 앱에 사용되는 여러 화면을 하나의 파일에 모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UI 설계용 파일 형식
- 코드 없이 UI/UX 화면 구성 가능
- 앱의 전체 구조를 쉽게 파악 가능

Seque (세그웨이)
- 스토리보드를 통해 화면 전환 시 출발지와 목적지를 직접 지정하는 방식을 세그웨이를 이용한 화면 전환이라고 한다.
- 두개의 뷰 컨트롤러 사이에 연결된 화면 전환 객체를 세그웨이 라고 함.
-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혹은 ctrl + 드래그로 화면 연결

UIViewController
- UIKit 프레임워크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로, 기본 뷰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핵심 클래스
- 뷰 컨트롤러를 정의하려면 반드시 이 클래스를 상속받아야 함
viewDidLoad() (콜백 메소드)
- UIViewController 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는 메소드로, 뷰의 로딩이 완료되었을 때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됨.
- 리소스 초기화나 초기 화면 구성 등 처음 한 번만 실행해야 하는 초기화 코드는 대부분 이 메소드 내부에 작성

아울렛 변수 (@IBOutlet)
- 인터페이스 빌더의 요소를 스위프트 클래스가 참조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맴버 변수
- 아울렛 변수를 통해 화면상에 있는 레이블에 대한 작업 가능
- @IBOutlet 이라는 어노테이션으로 인터페이스 빌더에 관련된 속성이라는 것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준다.
※ Strong / Weak의 2가지 Storage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는데, Weak타입일 경우 weak 키워드를 붙여줘야 하며, 다른 곳에서 참조되고 있더라도, 시스템이 임의로 메모리에서 제거할 수 있다. (메모리 관리 이슈 때문에 필요)
액션 메소드 (@IBAction)
- 앱 상에서의 동작(이벤트)에 반응하는 액션에 대한 메소드
- 버튼처럼 사용자와 상호 반응할 수 있는 객체를 연결할 때만 사용할 수 있음
- @IBAction 이라는 어노테이션으로 인터페이스 빌더의 객체의 이벤트를 제어하는 메소드라는 것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준다.

런치 스크린(Launch Screen) == 스플래시(Splash)
- 시작 화면이라고 생각하면 됨 (최초 로딩 화면)
- 시작 화면은 별도의 스토리보드 형식 파일로 제공됨 (LaunchScreen.storyboard)
AppDelegate.swift
- 앱 전체의 실행 흐름을 컨트롤하는 객체
- 앱이 처음 실행될 때, 종료될 때, 백그라운드 상태 등의 상황에서 호출되는 메소드들로 구성되어 있음
- AppDelegate 객체는 앱 전체의 생명 주기와 함께 하기 때문에 AppDelegate 객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앱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오토 레이아웃 (Auto Layout)
- 회면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항상 일정한 비율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
네이티브 앱 (Native App)
- iOS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Swift 또는 Objective-C 언어로 개발되며, iOS를 통해 직접 실행되는 앱
- 네트워크 연결 없이 사용 가능
웹 앱 (Web App)
-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는 앱으로, HTML 페이지와 CSS, JavaScript 등의 기술만으로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UI,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앱
- 네트워크 연결 필수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
- 애플 환경에서 터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도구들의 모음 (== 하드웨어와 앱 사이를 중개해주는 iOS 인터페이스)
- 블루투스 등의 기능을 위해 하드웨어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를 거쳐야 함
- 앱을 만들고 실핼할 때 필요한 iOS 기반의 기술들은 모두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에서 파생된 다양한 하위 프레임워크를 필요로 한다. ex) UIKit Framework :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728x90
반응형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OS ] 화면 전환 시 값 전달 방식 (UIKit) (0) | 2023.02.15 |
---|---|
[ iOS ] Unwind - 화면 복귀 (UIKit) (0) | 2023.02.13 |
[ iOS ] 화면 전환 방식 (UIKit) (0) | 2023.02.10 |
[ iOS ]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의 주요 프레임워크와 접두어 정리 (0) | 2023.02.08 |
[ iOS ] iOS 앱의 생명 주기 (UIKit) (0) | 2023.02.08 |
728x90
반응형
View Controller (뷰 컨트롤러)
- 앱의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코드 작성 (이벤트 발생 시 수행될 코드 작성), 일반적으로 화면의 개수만큼 필요하다.
Storyboard (스토리보드)
- 앱에 사용되는 여러 화면을 하나의 파일에 모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UI 설계용 파일 형식
- 코드 없이 UI/UX 화면 구성 가능
- 앱의 전체 구조를 쉽게 파악 가능

Seque (세그웨이)
- 스토리보드를 통해 화면 전환 시 출발지와 목적지를 직접 지정하는 방식을 세그웨이를 이용한 화면 전환이라고 한다.
- 두개의 뷰 컨트롤러 사이에 연결된 화면 전환 객체를 세그웨이 라고 함.
-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혹은 ctrl + 드래그로 화면 연결

UIViewController
- UIKit 프레임워크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로, 기본 뷰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핵심 클래스
- 뷰 컨트롤러를 정의하려면 반드시 이 클래스를 상속받아야 함
viewDidLoad() (콜백 메소드)
- UIViewController 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는 메소드로, 뷰의 로딩이 완료되었을 때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됨.
- 리소스 초기화나 초기 화면 구성 등 처음 한 번만 실행해야 하는 초기화 코드는 대부분 이 메소드 내부에 작성

아울렛 변수 (@IBOutlet)
- 인터페이스 빌더의 요소를 스위프트 클래스가 참조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맴버 변수
- 아울렛 변수를 통해 화면상에 있는 레이블에 대한 작업 가능
- @IBOutlet 이라는 어노테이션으로 인터페이스 빌더에 관련된 속성이라는 것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준다.
※ Strong / Weak의 2가지 Storage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는데, Weak타입일 경우 weak 키워드를 붙여줘야 하며, 다른 곳에서 참조되고 있더라도, 시스템이 임의로 메모리에서 제거할 수 있다. (메모리 관리 이슈 때문에 필요)
액션 메소드 (@IBAction)
- 앱 상에서의 동작(이벤트)에 반응하는 액션에 대한 메소드
- 버튼처럼 사용자와 상호 반응할 수 있는 객체를 연결할 때만 사용할 수 있음
- @IBAction 이라는 어노테이션으로 인터페이스 빌더의 객체의 이벤트를 제어하는 메소드라는 것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준다.

런치 스크린(Launch Screen) == 스플래시(Splash)
- 시작 화면이라고 생각하면 됨 (최초 로딩 화면)
- 시작 화면은 별도의 스토리보드 형식 파일로 제공됨 (LaunchScreen.storyboard)
AppDelegate.swift
- 앱 전체의 실행 흐름을 컨트롤하는 객체
- 앱이 처음 실행될 때, 종료될 때, 백그라운드 상태 등의 상황에서 호출되는 메소드들로 구성되어 있음
- AppDelegate 객체는 앱 전체의 생명 주기와 함께 하기 때문에 AppDelegate 객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앱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오토 레이아웃 (Auto Layout)
- 회면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항상 일정한 비율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
네이티브 앱 (Native App)
- iOS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Swift 또는 Objective-C 언어로 개발되며, iOS를 통해 직접 실행되는 앱
- 네트워크 연결 없이 사용 가능
웹 앱 (Web App)
-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는 앱으로, HTML 페이지와 CSS, JavaScript 등의 기술만으로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UI,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앱
- 네트워크 연결 필수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
- 애플 환경에서 터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도구들의 모음 (== 하드웨어와 앱 사이를 중개해주는 iOS 인터페이스)
- 블루투스 등의 기능을 위해 하드웨어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를 거쳐야 함
- 앱을 만들고 실핼할 때 필요한 iOS 기반의 기술들은 모두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에서 파생된 다양한 하위 프레임워크를 필요로 한다. ex) UIKit Framework :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728x90
반응형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OS ] 화면 전환 시 값 전달 방식 (UIKit) (0) | 2023.02.15 |
---|---|
[ iOS ] Unwind - 화면 복귀 (UIKit) (0) | 2023.02.13 |
[ iOS ] 화면 전환 방식 (UIKit) (0) | 2023.02.10 |
[ iOS ]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의 주요 프레임워크와 접두어 정리 (0) | 2023.02.08 |
[ iOS ] iOS 앱의 생명 주기 (UIKit)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