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을 듣기 시작하고 처음으로 미니프로젝트를 했다.
그냥 그동안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데이터를 불러와서 각자의 방식으로 가설을 세워서 분석해보고 가설을 검증해보는 것 등을 해보았다.
대부분 내용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셨고, 데이터도 어려운 구성이 아니었던 편인 것 같다.
'서울시 버스 수요 분석'과 '서울시 따릉이 수요 분석'의 총 2개의 주제를 가지고 진행되었는데, 처음 3일동안은 서울시 버스 수요 분석, 마지막 4일차는 하룻동안 서울시 따릉이 수요 분석을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1일차에는 강사님의 설명을 듣고 강사님의 가이드에 따라 각자 데이터의 단변량 분석 및 가설을 세우고 이변량 분석을 통해 검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2일차에는 조별토론방법론에 대해 두시간 정도 배웠다. 효율적으로 조별토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많은 기법들을 배웠고, 향후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았다. 특히 MURAL이라는 사이트에서 여럿이 모여 토론을 진행해보는 실습이 인상싶었다. 조별토론이 있을 때마다 활용하면 유용할 것 같았다.
조별토론방법론을 배운 뒤에는 전날 각자 세운 가설들과 분석한 내용을 조원들과 공유한 뒤 이를 취합해서 적절한 인사이트를 도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3일차에는 전날 조원들과 공유한 가설과 인사이트를 ppt로 정리해서 발표하였다. 솔직히 강사님의 가이드라인대로 되게 기본적인 내용들로만 간단하게 분석을 했는데, 다른 조들의 발표를 보면서 같은 시간안에 한게 맞나? 싶을 정도로 잘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았다. 내가 너무 안일하게 생각해서 가볍게 분석을 한 것 같기도 하고, 여러 관점에서 가설을 세워보거나 새로운 칼럼을 만들어서 다각도로 데이터를 분석해볼 생각을 못했던 것 같기도 하다.
이런 식으로도 분석해볼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드는 조들이 너무 많았고, 다음부터는 좀 더 머리를 굴려보며 데이터를 분석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4일차에는 새로운 주제인 서울시 따릉이 수요 분석을 주제로 3일간 진행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하루만에 진행하였다.
그래도 전까지는 처음 해보는 프로젝트라 요령도 없었고 좀 헤매는 경향이 있었다면, 오늘은 전보다는 더 빠르게 분석을 해볼 수 있었던 것 같다.
3일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어떤 식으로 분석해보자'라고 미리 생각을 해보기도 했고, 다른 조들이 분석했던 내용들도 참고하여서 나도 여러 관점에서 데이터를 새롭게 바라보며 가설을 세워볼 수 있었다. 첫 주제에 대해 분석했을 때보다는 쓸만한 분석을 했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조들의 발표를 들어보니 다른 조들 역시 전날보다 훨씬 잘했다. 심지어 ppt까지 한시간 안에 만든게 맞나 싶을 정도로 너무 잘만들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체로 수도권이 아니신 조들의 ppt가 굉장히 잘 만들어졌는데, 어떤 조는 보니 대면으로 만나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 같았다. 그래서 저정도의 퀄리티가 나올 수 있었던 것 같기도 하지만 암튼 너무 잘만들었다 다들... 데이터 분석도 굉장히 창의적으로 잘 하는 것 같았고 스스로 부족한 부분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다음 프로젝트부터는 정말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KT AIVLE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주차 - 22.08.23) 머신러닝2 - KNN,로지스틱회귀,분류모델평가 (0) | 2022.08.23 |
---|---|
(5주차 - 22.08.22) 머신러닝1 - 선형회귀,회귀모델평가 (0) | 2022.08.22 |
(3주차 - 22.08.12) 데이터 분석 및 의미 찾기 3 - 이변량분석2 (2) | 2022.08.15 |
(3주차 - 22.08.11) 데이터 분석 및 의미 찾기 2 - Seaborn,이변량분석1 (0) | 2022.08.12 |
(3주차 - 22.08.10) 데이터 분석 및 의미 찾기 1 (0) | 2022.08.10 |